무슨 일이 있어도 뜻
- 의심
- 어쩌면
- 아마
- 아마도
+모두 보이기...- 어떻게든지 해서
- 혹시
- 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: 가물의 피해보다도 장마로 인한 물난리가 더 무섭다는 말.
- 무슨: 무슨[관형사]1 무엇인지 모르는 일이나 물건을 물을 때 가리키는 말.* ~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소.*~ 일로 오셨소?2 '왜', '어떻게 된'의 뜻으로, 예상 밖의 못마땅한 일을 강조할 때 쓰는 말.* ~ 사람이 그 모양인가! ~ 눈이 이렇게 많이 올까!3 반의적인 뜻을 강조하는 말.* 대낮부터 술은 ~ 술이오.
- 나간 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: 게으른 사람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말.
-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: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거나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만큼, 자식은 부모를 그렇게 사랑하지 못하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그렇게 사랑하지 못한다는 말.
- 삼수갑산에 가는 한이 있어도: = 나중에야 삼수갑산을 갈지라도(⇒ 나중1 ).
- 오이는 씨가 있어도 도둑은 씨가 없다: 도둑질은 유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.
- 일색 소박은 있어도 박색 소박은 없다: ① 아름다운 여자는 흔히 잘난 체하므로 남편에게 소박을 당해도, 못생긴 여자는 다소곳하므로 소박을 당하는 일이 적다. ② 사람됨이 비단 얼굴에만 매인 것이 아니다.
- 한집에 있어도 시어미 성 모른다: 제게 가깝고 손쉬운 일은 흔히 무심하게 지나쳐 버리는 수가 많기 때문에 도리어 잘 모른다는 말.
- 일이: I 일이1 【一二】 [-리][수사]= 한둘.I I 일이2 【一二】 [-리][관형사]= 한두.
- 어도: I 어도【魚道】 (일본어魚道)[명사]1 ▷ 고깃길.2 《토목》 ▷ 어제2 (魚梯).I I -어도[어미]〔끝 음절의 모음이 음성모음인 동사, 형용사 어간 따위에 붙어 쓰이는 연결어미.〕1 가정이나 양보적인 뜻을 나타냄.* 있~ 그만 없~ 그만.*[참고] -아도.2 대립적인 사실을 이어 줌.* 약을 먹~ 잘 낫지 않는 병.*[참고] -아도.
- 일이 없는: 실직한
- 일일이: I 일일-이1 【一一이】 [-릴-][부사]= 하나하나.I I 일일-이2 [일:릴-][부사]일마다 다.* ~ 잘 되다.
- 잘 있어: 안녕; 안녕히 가세요; 안녕히 계세요; 안녕하세요; 잘 가
- 무슨 바람이 불어서: 오랜만에 찾아온 사람에게, '무슨 마음이 내켜서', 또는 '무슨 일이 있어서'의 뜻으로 쓰는 말.* 무슨 바람이 불어서 시골까지 오셨소?
- 어도록: 어도록[부사] 얼마.
예문
예문 더보기: 다음>
- 너와 무슨 일이 있어도, 네가 알아 내길 바래.
- 당신같은 사람들로부터 나라를 지키는거지 무슨 일이 있어도 말이야
- 그 후로 무슨 일이 있어도 서로를 지키기로 했다
- 무슨 일이 있어도 언제나 안전하게 들어올 수 있어.
- 그리고 무슨 일이 있어도 다신 여기 오지 마